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9

손자 증여세 면제 한도액 (계산 방법) 자식보다 예쁜 손자에게 증여를 생각하시는 조부모님 많으실텐데요, 오늘은 이와 관련해 손자 증여세 면제 한도액에 대한 내용 살펴보고 계산방법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금부터 이 포스팅을 통해 증여세를 줄이는 방법, 끝까지 읽어보시고 꼭 알아가시길 바랍니다. 재산세, 납부하셨나요? 손자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먼저 10년에 한번씩 조부모님이 손자에게 증여할 경우에는 5천만원까지 증여세가 공제됩니다. 단, 미성년자는 2천만원까지 증여할 수 있습니다. 보통 직계 뿐 아니라 존속, 존비속 과의 증여세 공제한도액은 5천만원으로 관련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 증여세 면제한도액 이 면제한도액은 10년 주기로 돌아오며, 10년 동안 5천만원을 받았다면 10년 이후에 또 5천만원을 주어야 공제되는.. 2023. 7. 22.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총정리 정부는 여러가지 사정으로 인해 생활이 어려운 기초생활수급자를 위한 방안으로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오늘 이 생계급여는 어느정도인지, 신청하는 방법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은? 직접 계좌로 들어오는 생계급여 외 다양한 급여 등으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초생활수급자는 생계급여 금액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기초생활수급자 수급조건 먼저 기초생활수급자가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재산과 소득을 비례하여 산정하는 기준 중위소득으로 기준을 매깁니다. 중위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생계급여의 기준 중위소득은 30% 이하입니다. 아래 표를 통해 기준중위소득 30%가 어느정도 되는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생계급여외 의료급여는 기준중위소득 40%, 주거급여 46%, .. 2023. 7. 20.
2024 최저임금 급여 (최저시급, 최종확정) 드디어 2024 최저임금 급여가 결정되었습니다. 9,860원으로 2023년 최저임금보다 2.5% 가량 인상되었는데요, 오늘은 2024 최저임금에 대하여 내용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 2024 최저임금 최종 결정 최저임금위원회는 논의 끝에 금일 2024 최저임금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는데요, 시급과 급여로 환산했을 때의 금액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2024년 최저시급 : 9,860원 📌 2024년 최저급여 : 2,060,740 노사는 2024 최저임금을 26% 가량 인상하는 12,210원으로 제시했는데요, 최저임금위원회의 긴 논의 끝에 금일 결정되었습니다. 사실 인상률로 따졌을 때 지금까지 최저임금 내역 중 두번째로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는데요, 2023년 인상률이 5%이기 때문에 .. 2023. 7. 19.
재산세 조회하기 (납부 방법) 재산세는 재산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보통 과세기준일 6월 1일 기준으로 재산세 기준이 되며, 7월 또는 9월 중으로 재산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현재 재산세 납부해야하는 기간인데요, 오늘 재산세 조회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납부전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재산세 세율은? 재산세 조회하기 보통 재산세가 납부되어야 하는 기간에는 지로용지로 고지서가 발송되지만 우리는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언제든지 조회해볼 수 있습니다. 지방세 민원을 책임지는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재산세를 조회해볼 수 있습니다. 재산세 납부기간 재산세는 1년에 2회 납부합니다. 납부할 세액이 많을 경우 2회에 걸쳐 분할 납부도 가능하지만 250만원 이하일 경우에는 보통 7월에 납부합니다. 위와 같이 6월 1일 과세 성립일.. 2023. 7. 18.
반응형